프리랜서로 활동하며 육아를 병행하는 엄마들은 출산과 육아로 인한 소득 감소와 지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기 쉽습니다. 그러나 최근 정부와 지자체에서 프리랜서와 1인 자영업자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프리랜서 육아맘이 꼭 알아야 할 출산급여와 지원제도에 대해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프리랜서나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근로자는 기존의 출산전후휴가급여를 받을 수 없었습니다. 그러나 2019년부터 고용노동부는 이러한 고용보험 미적용자를 대상으로 출산급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 출산 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소득활동을 한 출산 여성은 월 50만 원씩 3개월간 총 15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
신청 방법:
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를 위한 출산급여 지원을 시작했습니다. 기존의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150만 원에 더해 서울시가 추가로 90만 원을 지원하여 총 24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다태아 임산부의 경우 총 32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
지원 대상:
신청 기한: 출산일로부터 1년 이내
출산한 배우자를 둔 서울 거주 남성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도 '배우자 출산휴가지원금' 8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는 아내의 출산으로 인한 일시 휴업이나 대체 인력 채용 등에 따른 소득 감소를 보전하기 위한 지원입니다
지원 대상:
프리랜서로서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것은 쉽지 않은 도전입니다. 다음은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몇 가지 팁입니다:
지역 맘카페는 육아 정보 공유와 네트워킹에 유용한 공간입니다. 예를 들어, '맘스매니아'와 같은 카페에서는 육아용품 서포터즈 모집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
가입 추천 리스트:
여성가족부는 2025년부터 고용보험에 가입한 프리랜서도 육아휴직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습니다. 그러나 고용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혜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, 자신의 고용보험 가입 상태를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
주의사항:
육아와 일을 병행하려는 프리랜서 엄마들을 위한 채용공고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있습니다. '육아크루 커리어톡'에서는 재택근무나 유연근무가 가능한 프리랜서 일자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
주요 채용공고: